-
글로벌 자산 배분, 금투자 할까 말까 f.유동원 본부장 [리뷰]경제공부 2020. 8. 8. 23:01반응형
글로벌 자산 배분은 필수다.
롱숏이라는 전략(하나를 사면 하나를 파는) 벌때는 많이 벌지만 장기적으로 많이 벌기 힘든 시스템이다.
자산배분 : 가장 필요한 것은 주식만 할게 아니라 다른 여러가지 상품을 조합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투자를 하면
연간 8% 이상의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자산 배분형 etf를 사도 되지만, 누가 운영하는가에 따라 리스크가 있다.
블랙리터만 모델 : 여러 주식(중국, 미국 등), 금, 채권 등의 상승 예상치를 입력하고 모델링을 돌리면 자동으로 배분을 해준다.
지금(20.8 기준)은 공격적인 리스크를 넣어도 수익이 나는 타이밍이다. 12% 정도 모델링할때 리스크로 넣어도 될 타이밍
지금은 리스크가 부담스럽지 않은 구간이다.
(12% 리스크 : 12% 수익을 내기 위해 변동성(위아래로) 12%정도를 감안한다는 뜻)
수익목표 12%의 추천 포트폴리오 : 주식비중 57%(선진국 45%, 신흥국 12%), 채권 15%, 유가선물 5%, 금 25%
| 금 : 원자재 비율이 높은 이유?
달러의 움직임때문에 : 달러 약세장에서는 원자재가 인기가 좋아진다.
아직까지는 달러약세가 이어질 조짐이다.
달러가 90.765(20.8.7 기준)로 낮아서 신흥국도 상승여력이 나타난다.
또 원자재 가격도 상승하는 분위기
달러가 약세라는건 연준이 유동성을 푼다는 뜻
추천 포트폴리오에서 특이하게 금이 25%나 되는 이유(25%는 매우 큰 비중이다)
원자재 금에 20~25% 투자해야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것은 (모델링에서) 역대 과거에 있었던 예중에서 가장 많이 올라가는 타이밍과 비슷하다는 뜻이다. 과거 1970년대~후반 금 상승기가 있다. 300%, 700%, 670% 이런식으로 상승했었다. (상승주기)
또 이게 뭐랑 연결이 되어있느냐, M1 증가율과 연결되어있다.
*M1 – 연준이 진짜로 찍어낸 돈들
그 말인 즉, 화폐가치가 그만큼 떨어진다는 뜻이다.(현금가치는 쓰레기가 된다!)
상대적으로 정반대에 있는 자산인 금의 가격이 상승한다라는것이다.
금 1차, 2차 상승기(1970년~1980년까지)에 M1 증가율은 12%까지 올라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백프로의 상승률이 나왔다.
그리고 지금 일어나고 있는 금상승이 3차, 4차 상승기이다.
3차 상승기 (2000년 닷컴버블 지나고나서), 그리고 2008년 산업재 버블이 일어나는 시기, 2011년 원자재 가격이 급상승 하던 시기
3차 상승기 금 670% 상승 / M1 12~13% 상승
그리고 지금 금 상승기가 왔는데, 바닥대비 100%까지 못올라왔다. (현재 97%정도)
지금 M1 증가가 3차에 비해 2배나 된다.(단기간에)
단가로 계산해 보면
금 3차 상승기에 1500달러 오름. 이 가격을 4차 상승에 합하면 고점이 2500~2600달러가 나온다.(M1 증가율이 같았을 때 상승가)
M1 상승률이 2배라면, 금 4차 상승가가 더 높을 수 있다.
"금이 안전자산이라는 말은 가격이 변동성이 적다는게 아니라, 환금성이 좋아서라는 의미이다."
원자재란 가격의 변동성이 굉장히 크다.
금을 25%까지 투자하라 했지만 유동원 본부장은 20% 이상 투자는 비추다. 이유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다.
금 매수방법: 한국거래소 금시장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394223
| 유가
유가 원자재 : 변동성이 금보다 더 크다.
패러다임의 변화. 양쪽에서 맞고있다. (수요와 공급)
공급확대는 셰일가스때문에, 수요는 전기차때문에
2개가 연결이 되니깐 예전의 유가 고점보다 지금 고점이 낮다. 그래서 유가비율은 5%인것이다.
전혀 안하기엔 중요한 자산이라 유가는 5% 추천
| 국채(채권)
미국국채은 망할리가 없으니, 비중을 많이 가져가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2011년에 신용등급 강등을 받았던 적이 있다. (채권이 늘고=부채가 늘고)
지금과 비슷한 상황이라 또 한번 신용등급 강등 당할 수 있다.
인플레 걱정 (인플레=채권금리 상승)
이 모든 것을 고려해봤을 때, 채권이 안전자산인가? 원금보장은 되지만 수익을 창출하기엔 거의 불가능한 상품이 될 수 있다.
이럴 때는 채권투자가 조심스럽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숫자(실질금리)를 보면 금리가 거의 없거나 -1% = 이게 투자인가...
인플레가 될 조짐이 보인다. 채권부분을 조심스럽게 접근하라
17년 금리가 3%까지 올랐었던 역사가 있다. 18년도 초에도 미국채권금리가 튀었던 적이 있다.
| 주식
주식으로만 포트폴리오 구성할 땐, 100에서 선진국 주식 80 / 신흥국 20
달러가 약세로 가면 신흥국 시장에 좋은것 아닌가?? 일시적으로는 맞으나 문제는 달러가 계속적으로 초약세로 갈 것인가이다.
빠르게 10%정도 절하가 되었는데, 또 10%가 절하될 것이냐에는 의구심이 든다.
신흥국 투자를 하지말라는 것은 아니다. 현재의 시가총액에 맞춰서 투자하라는 것이다.
달러가 93까지 내려오는것이 맞았다.
숫자가 뒷받침 되는 신흥국에 투자하라하니 여기에 한국이 끼어있는것이다. (대표적으로 삼전)
한국, 대만, 중국, 베트남
이 국가들이 모두 제조업베이스
원자재 > 4차산업혁명
4차산업혁명과 관련된 제조업들을 가지고 있는 국가들 위주로 투자하라.
(우연하게도 이 국가들이 코로나가 조기에 잡힌 국가들이다)
지금 상황을 한국이 IMF 금융위기 터졌을 때, 닷컴버블이 정점이었을 때(98,99,2000년 초까지)와 비교를 많이 한다.
신흥국이 위기가 터지니 미국에서 유동성을 엄청나게 풀었다,
일시적으로 달러가 10%정도 절하되고, 몇년간 또 달러가 강세로 갔다.
미국주식 비중을 높게 가져가야한다.
선진국 비중 전체 포폴에서 60% 정도는 미국주식으로 채워야한다.
한국시장을 좋게보는 이유 : 98~00년 초까지 나스닥 200% 조금 넘게 정도 올랐을 때, 코스피는 300% 올랐다.
신흥국 중 한국시장을 추천한다.
| 추천 종목
16년부터는 나스닥을 밀고있다. (당시 4000대, 지금은 11000)
잡주는 절대 안된다.(실체는 없고 테마로만 움직이는 것들, 갑자기 화려한 것들 eg. 신라젠)
실체가 제일 중요하다. FAANG / MAGA 투자가 너무나도 다행이다.
펀더멘털과 맞춰져서 미국주식 투자가 이루어지는 요즘이 좋은 현상이다. = 부가 창출된다.
미국시장이 얼마나 더 올라갈것인가.
S&P 500 골든크로스가 이루어지 시작했다.
(앞으로 6-7개월 안으로)
추가 상승을 할것인데, 잔존가치모델로 돌려보니 S&P500은 8% 정도 상승예상
나스닥은 18.5%
나스닥 100(MAGA/FAANG 포함) 21.4% 추가상승여력이 있다.
되는 놈만 된다.
페이스북, 애플, 넷플릭스, 엔비디아, 마소, 구글 모두 최소 상승률 24%
넷플릭스는 약 80% 예상 (현재 넷플릭스 ROE 40%이다)
**ROE 40% : 만약 자기자본 100만원 투자하면 40만원 이익이 나온다는 뜻
닷컴버블과 나스닥의 실적 제외한 유동성을 비교하면 17000포인트까지 가야 버블이다.
현재 11000포인트. 지금 갖고있는 사람은 팔면 안되고, 아직 없는 사람은 무조건 사라!
이정도면 나스닥, 미국주식은 꼭 투자를 해야하는 것이다.
삼프로를 보며 느끼는 바가 크다.
세계는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그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뒤쳐지는 순간,
나의 자산은 빠르게 소멸해갈것이라는 두려움을 느꼈다.
최소한 반보 앞서나가지 못한다면 삼프로 등 경제방송이라도 매일 들으며 발걸음을 같이 해야겠다.
뒤쳐지지 말자!
728x90반응형'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코노미, 코로나 이후 바뀔 세상 (0) 2020.09.23 한국판 뉴딜 정책에 대한 모든 것 (2) 2020.09.03 공매도란? 공매도 금지 기간 6개월 연장 (0) 2020.08.28 종부세 기준 알아보기 (0) 2020.08.25 탄소포인트제 인센티브로 생활비 절약하기 (0) 2020.08.19